|
 |
|
|
 |
|
 |
|
순수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물 속에 녹아 있는 용질을 제거해야 하는데 그 방법에는 역삼투, 전기투석, 증발, 이온교환 등이 있다. 이들 중 역삼투법은 에너지 소비량이 적고 운전이 간편하며 자동화가 용이하여 최근 음용수, 반도체, 제약, 병원, 도금, 화공약품, 염색폐수, 해수담수 등 여러분야에 두로 적용되고 있다.
역삼투막의 종류 역삼투 모듈에는 와권형 (spiral형), 중공사형 (hollow-fiber형), 평막형 (plate형) 등이 있다. 와권형 및 중공사형은 막교환이 용이하며 높은 표면적 등으로 해수나 기수 담수화에 용이하여 보편적으로 사용된다. 평막형은 막의 세정이 용이하여 고농도의 부유물질이 함유된 원수에 사용된다.
막재질에 따른 분류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(CA계) → 염분, 브롬, THM 등. 제거율은 PA계보다 낮다. 폴리아마이드 (PA계) → 염분, 브롬, THM등. 제거율은 CA계보다 높으며 잔류 염소에 약하다. (탈염소처리가 필요함) |
|
 |
|
 |
| |
|
 |
|
|
|